존 컨스터블의 '건초마차' 산업혁명 시대 영국인들이 사랑한 고향의 풍경
처음 <건초마차>를 보았을 때 이 그림이 특별하다고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그냥 제게는 아무런 감흥이 없는 그림이었습니다. 하지만 나중에 알고 보니 이 그림은 단순한 풍경화를 넘어, 산업혁명 당시 시대의 기록이자 프랑스 인상주의에까지 영향을 준 걸작이었습니다.
존 컨스터블 (John Constable, 1776-1837)의 <건초마차 The Hay Wain>는 평범한 시골 풍경을 담고 있어 화려하거나 극적인 요소는 찾아보기 힘듭니다. 하지만 영국인들은 이 작품을 영국 농촌의 아름다움을 가장 잘 묘사한 그림으로 꼽습니다. 산업혁명으로 빠르게 도시화가 진행되던 시대에, 평화로운 농촌의 모습을 담은 이 그림이 영국인들의 향수를 자극했기 때문입니다. 이 작품은 풍경화의 위상을 높였을 뿐만 아니라, 영국의 그림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
<건초마차>, 1821년, 130.2x185.4cm, 런던 내셔널 갤러리 |
당시 풍경화는 상상 속의 이상적인 풍경을 그리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하지만 컨스터블은 자신의 고향 서퍽(Suffolk)의 데덤 베일(Dedham Vale)의 실제 모습을 화폭에 담았습니다. 탁 트인 푸른 평원에서 농부들이 수확한 건초를 마차에 싣고 강을 건너는 평범한 장면입니다.
그림 속 빛과 그림자의 변화, 그리고 하늘의 구름 표현이 무척 인상적입니다. 그는 특히 하늘과 구름의 변화에 매료되어 수많은 구름 스케치를 남기기도 했습니다. 빛과 그림자의 미묘한 조화와 다채로운 색조를 통해 날씨의 변화와 대기의 느낌을 생생하게 표현했습니다.
건초마차를 중심으로 왼편의 농가와 오른편의 나무가 삼각형 구도를 형성하여 안정감을 주고, 강줄기와 하늘은 황금비율을 따라 화면을 분할하며 조화를 이룹니다. 왼편의 집과 나무가 무게감을 주는 반면, 오른편의 강과 넓은 풍경은 시원한 개방감을 줍니다.
이 그림을 그리기 위해 컨스터블은 야외로 나가 직접 풍경을 관찰하고 수많은 스케치를 했습니다. 지금은 당연하게 생각되지만, 그 당시 화가들은 주로 실내에서만 작업했기에 이는 매우 혁신적인 방식이었습니다. 그의 작업 방식은 훗날 인상파 화가들이 야외에서 그림을 그렸던 것보다 시대를 앞선 것이었죠.
특히 주목해야 할 기법은 물결이나 나뭇잎의 반짝임, 구름의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 흰색 물감을 작은 점처럼 찍어 넣은 것입니다. '컨스터블의 눈(Constable's snow)'이라 불리는 이 기법은 빛의 효과를 극대화했으며, 훗날 프랑스 인상주의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 |
건초마차 부분 확대 |
이 작품에는 상징적인 요소도 담겨 있습니다. 그림 왼편의 '윌리 롯의 오두막'은 소박한 삶과 고향의 안식처를 상징합니다. 이 집은 실제로 컨스터블이 어린 시절을 보낸 곳 근처에 있었습니다. 강, 나무, 하늘 등은 산업혁명의 시대 속에서도 변치 않는 자연의 아름다움을 나타냅니다. 물을 긷는 여인, 강을 건너는 마부, 들판에서 일하는 사람들 모두 자연 속에서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모습입니다.
1821년 이 작품이 영국 왕립 아카데미에 전시되었을 때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1824년 프랑스 파리 살롱전에 전시되었을 때는 극찬을 받았습니다. 프랑스의 낭만주의 화가 테오도르 제리코는 이 그림을 “영국 풍경화의 진정한 보석”이라고 극찬했고, 외젠 들라크루아는 이 작품에 감명을 받아 자신의 작품 <키오스 섬의 학살>의 배경을 다시 그렸을 정도였습니다. 프랑스 국왕 샤를 10세는 이 작품에 금메달을 수여하며 그 가치를 인정했습니다. 이렇게 컨스터블은 영국보다 프랑스에서 먼저 큰 명성을 얻었지만, "외국에서 부자로 사느니 영국에서 가난하게 살겠다"고 말할 만큼 영국의 전원과 자연을 깊이 사랑했습니다.
이 작품이 처음 공개되었을 때의 제목은 <정오 풍경 Landscape: Noon>이었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이 기억하기 쉽도록 <건초마차>라는 별칭이 붙여져 지금까지 그렇게 불리고 있습니다.
얼핏 보면 <건초마차>는 특별할 것 없는 풍경화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산업화 시대에 자연의 아름다움과 향수를 불러일으키고, 사실적인 표현 기법으로 프랑스 인상주의에까지 영감을 준 선구적인 작품입니다. 오늘날에도 엽서, 포스터, 퍼즐 등 다양한 상품으로 제작될 만큼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