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비드의 나폴레옹의 대관식, 역사상 가장 위대한 정치 선전화
자크 루이 다비드의 <나폴레옹 1세와 조제핀 황후의 대관식>은 나폴레옹의 대관식을 기념하여 제작된 것으로, 그 시대의 정치적 상황을 절묘하게 담아내고 있습니다.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1세(Napoleon Bonaparte I, 1769-1821, 재위 1804-1814)는 1789년 프랑스 혁명 이후의 혼란을 수습하고 1799년 쿠데타를 통해 권력을 장악했습니다. 1804년에는 국민투표에서 99.93%라는 압도적인 찬성으로 황제에 즉위했습니다.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에서 거행된 대관식에는 교황 비오 7세가 참석하여 황제의 관을 씌워줄 예정이었죠. 하지만 나폴레옹은 대관식장에서 교황의 손에 있던 관을 직접 받아 자신의 머리에 썼습니다. 교황보다 우위에 있는 절대 권력을 과시하기 위한 행동이었습니다.
![]() |
<나폴레옹 1세의 대관식> 1805-1807년, 621x979cm, 파리 루브르 박물관 |
나폴레옹의 수석 화가였던 다비드(Jacques-Louis David, 1748-1825)는 황제의 요청에 따라 이 역사적인 순간을 기록화로 남겼습니다. 가로 약 10m, 세로 6m가 넘는 엄청난 크기의 이 작품은 오늘날 루브르 박물관에서 가장 많은 관람객의 시선을 사로잡는 대표작 중 하나입니다. 다비드는 150여 명의 인물을 그려 넣으면서도 모든 시선이 나폴레옹에게 향하도록 하여 극적인 효과를 높였습니다.
다비드는 1년 넘게 수많은 밑그림을 그리며 작품을 준비했습니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이 그림은 나폴레옹이 자신에게 관을 씌우는 장면이 아니라, 황후 조제핀에게 관을 씌워주는 장면을 담고 있습니다. 이는 나폴레옹 자신의 지시에 따른 것으로, 교황을 무시하는 듯한 오만한 모습 대신 황후에게 관을 수여하는 자비로운 황제의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한 정치적 계산이었습니다.
![]() |
교황 비오 7세(부분 확대) |
그림에는 교황이 등장하지만, 나폴레옹이 중앙을 차지하는 구도를 통해 세속 권력이 종교 권력 위에 있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그림 속 교황 비오 7세는 무기력한 표정으로 앉아 있습니다. 원래 스케치에서는 교황이 팔을 무릎에 올리고 있었지만, 나폴레옹의 지시로 마지못해 축복을 내리는 듯한 모습으로 수정되었습니다.
이 그림은 '날조된 역사'로도 유명합니다. 화면 중앙 귀빈석에 위엄있게 앉아 있는 중년 여성은 나폴레옹의 어머니 레티치아 보나파르트인데, 실제로는 며느리인 조제핀과의 불화로 대관식에 참석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나폴레옹은 보나파르트 가문의 정통성을 과시하기 위해 어머니를 가장 중요한 자리에 그려 넣도록 했습니다.
![]() |
귀빈석 중앙에 앉아 있는 나폴레옹의 어머니(부분 확대) |
![]() |
나폴레옹의 형제자매들(부분 확대) |
그렇다면 완성된 그림을 본 나폴레옹의 반응은 어떠했을까요? 나폴레옹은 1시간 가까이 말없이 그림을 감상한 후, "훌륭하군, 다비드. 정말 훌륭해."라고 말하며 화가에게 깊은 경의를 표했다고 합니다.
이 작품으로 다비드는 황실 수석 화가로서의 지위를 굳혔고, 이후 프랑스 예술계는 그의 신고전주의가 중심이 되어 발전하게 됩니다.
하지만 일부 비평가들은 이 작품이 압도적인 크기에 비해 감동은 떨어진다고 평하기도 합니다. 철저하게 계산된 구도와 모든 인물이 나폴레옹만을 바라보는 연출이 생동감을 떨어뜨린다는 것입니다. 역설적으로 이는 나폴레옹의 절대 권력을 너무나도 잘 보여주는 그림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나폴레옹 1세의 대관식>은 나폴레옹 시대를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걸작이자 신고전주의 양식의 정점으로, 오늘날까지 루브르 박물관에서 가장 주목받는 작품 중 하나로 남아 있습니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