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야의 카를로스 4세 가족의 초상화 "스페인 왕실의 민낯을 그리다"
스페인을 대표하는 화가 중 한 사람인 고야는 궁정화가로서 국왕 카를로스 4세의 가족 초상화를 그렸습니다. 이 그림이 일반적인 왕실 초상화와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9세기 초반 프란시스코 고야(Francisco Goya, 1746~1828)가 궁정화가로 활동했던 스페인은 왕이 네 번이나 교체되는 극심한 혼란을 겪었습니다. 초기 궁정화가 시절 고야는 왕가의 화려함을 로코코풍으로 표현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현실을 고발하고 풍자하는 그림을 그렸습니다. 궁정화가로 생활한 지 10년 만에 고야는 스페인의 수석 궁정화가가 되었고, 이 시기에 왕실 가족의 초상화 의뢰를 받았습니다. 그래서 탄생한 작품이 바로 <카를로스 4세 가족의 초상 Charles IV of Spain and His Family>입니다.
당시 스페인의 가장 큰 문제는 바로 왕실이었습니다. 국왕 카를로스 4세는 스페인 역사상 가장 무능한 군주 중 한 명이었습니다. 나라 사정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었지만 그는 사냥에만 몰두할 뿐 정치에는 전혀 관심이 없었습니다. 실질적인 권력은 왕비 마리아 루이사와 그녀의 총애를 받던 마누엘 고도이가 쥐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들 역시 국정을 이끌어갈 능력은 없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당신이 궁정화가라면 어떤 왕실 가족 초상화를 그렸을 것 같습니까? 자리를 보전하기 위해서는 왕족들이 좋아할 만한, 위엄 있고 아름다운 그림을 그렸을 것입니다. 하지만 고야는 자신의 예술가적 양심상 그런 그림을 그릴 수 없었습니다.
![]() |
<카를로스 4세 가족의 초상> 1800-1801년, 280 x 336 cm, 프라도 미술관 |
고야가 그린 <카를로스 4세 가족의 초상>을 보세요. 어떤 느낌이 드시나요? 우리는 그림 속 인물들과 같은 공간에서 마주 보고 서 있는 듯한 구도를 마주하게 됩니다. 왕족들은 일렬로 서 있지만 어딘지 모르게 어수선합니다. 전체적으로 화려하고 빛나는 모습과는 대조적으로, 왕실 가족들에게서는 생동감이 느껴지지 않으며 어딘가 넋이 나간 것처럼 보입니다. 마치 값비싼 보석과 옷을 걸친 마네킹처럼 부자연스럽습니다.
왕실 초상화는 실제보다 아름답고 기품 있게 그리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작품은 인물들의 결점까지 그대로 그려 놓은 것 같습니다. 또한 왕실 가족들을 빽빽하게 배치하고 실내 배경을 어둡고 불분명하게 처리해 더욱 갑갑한 느낌을 줍니다.
그림의 중앙에는 왕 카를로스 4세가 아니라 왕비 마리아 루이사가 있습니다. 왕이 왕비의 위세에 눌려 지내는 모습을 표현한 것입니다. 왕에게서 군주의 위엄은 전혀 찾아볼 수 없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중앙을 차지한 왕비를 아름답게 그린 것도 아닙니다. 왕비의 살찐 팔뚝과 잘 맞지 않는 틀니 때문에 부자연스러워진 입매무새까지 사실적으로 묘사했습니다.
그림 왼쪽 어둠 속에는 화가 자신이 이젤 뒤에 서 있는 모습이 보입니다. 이는 벨라스케스의 걸작 <시녀들>에 대한 오마주이기도 하지만, 고야는 왕실 가족들과는 무관하다는 듯 어둠 속에 자신을 배치하여 관찰자로서의 거리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그림 속 인물은 고야를 포함하여 모두 14명, 왕실 가족만 세면 13명입니다. 서양에서 '13'이 불길한 숫자로 여겨진다는 점을 생각하면 의미심장합니다. 고야는 이 인원수를 맞추기 위해, 당시 아직 정해지지 않아 얼굴을 돌린 모습으로 그려진 미래의 왕세자비와 다른 왕족들을 포함시켰습니다.
금실과 은실로 수놓은 옷감에 다양한 보석으로 장식한 화려한 옷을 입고 서 있는 왕실 가족들. 하지만 그들의 발밑에 드리운 컴컴한 그림자는 그들이 처한 불안한 상황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듯합니다. 고야는 이 작품을 통해 쇠락해 가는 왕실의 나약하고 허영 가득한 모습을 남김없이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런 그림을 본 왕과 왕실 가족들의 반응이 궁금해집니다. 왕실을 모욕한 고야는 쫓겨나거나 처형당해야 하지 않을까요? 하지만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당시 왕족들은 자신들의 실제 모습이 그림과 같다고 생각할 만큼 어리석었다고도 하고, 역대 스페인 왕가의 초상화를 보면 근친혼의 영향으로 독특한 외모를 가진 경우가 많아 이상하게 여기지 않았다고도 합니다. 하지만 그 후, 왕은 고야에게 다시는 초상화 의뢰를 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영화 <고야의 유령>은 고야가 살았던 혼돈의 스페인을 잘 보여줍니다. 국왕 카를로스 4세와 왕비 마리아 루이사도 등장하니, 영화를 통해 당시 스페인의 상황을 실감 나게 이해한 후 이 작품을 다시 감상하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