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라바조의 <골리앗의 머리를 든 다윗> 범죄와 회개의 기록
<골리앗의 머리를 든 다윗 David with the Head of Goliath>은 카라바조(Michelangelo Merisi da Caravaggio, 1571-1610)의 생애 마지막 시점에 그려진 작품으로, 그가 도피 생활을 해야 했던 삶과 심리 상태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이 화가의 본명은 미켈란젤로 메리시 다 카라바조. '다(da)'는 '~로부터'라는 뜻의 이탈리아어 전치사로, '카라바조 마을에서 온 미켈란젤로'라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이미 100여 년 전 위대한 천재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Michelangelo Buonarroti, 1475-1564)가 있었기에, 사람들은 그를 출신지의 이름인 '카라바조'라고 부릅니다.
'악마의 재능을 가진 화가'로 불리는 카라바조는 39년이라는 짧은 생애 동안 음주, 폭행, 살인, 추행, 탈옥 등 수많은 범죄를 저질렀습니다. 하지만 범죄 후 다른 곳으로 도망쳐도 그의 뛰어난 그림 실력 덕분에 귀족들과 권력자들의 환심을 사서 위기를 피할 수 있었습니다. 심지어 교황마저 그의 작품을 원했을 정도였지요.
그러나 1606년, 카라바조는 내기 테니스 경기 중 벌어진 시비 끝에 라누치오 토마소니를 살해하고 로마에서 도망치게 됩니다. 이 살인 사건으로 카라바조는 모든 것을 잃고 사형 선고를 받은 수배자가 되어 이탈리아 전역을 떠돌게 됩니다. 나폴리, 몰타, 시칠리아 등지를 전전했지만 한곳에 정착하지 못하고 끊임없이 도망쳐야 했던 생활은 카라바조를 더욱 난폭하게 만들었습니다.
이렇게 4년간의 힘든 도피 생활을 하면서도 카라바조는 수많은 걸작을 그려냈는데, 그중 하나가 1610년에 완성한 <골리앗의 머리를 든 다윗>입니다. 이 작품은 성경의 다윗과 골리앗 이야기를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사실상 도피 중이었던 카라바조 자신의 심정을 담은 그림입니다.
![]() |
<골리앗의 머리를 든 다윗> 1610년경, 125x101cm, 로마 보르게세 미술관 |
이 작품은 어두운 배경 속에서 오직 다윗과 골리앗에게만 빛이 집중됩니다. 이러한 명암법은 르네상스 시대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창안한 '키아로스쿠로(chiaroscuro)' 기법에서 유래했습니다. 하지만 카라바조는 이보다 더 극단적으로 명암을 대비시켰는데, 이를 어둠을 뜻하는 '테네브로소(tenebroso)'에서 파생된 '테네브리즘(Tenebrism)'이라고 부릅니다.
소년 다윗은 강렬한 빛을 받으며 자신이 벤 골리앗의 머리를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죽은 골리앗은 이마에 큰 상처를 입고, 눈을 감지 못한 채 입을 벌려 무언가 말하려는 듯합니다. 이러한 골리앗을 바라보는 다윗의 얼굴에서는 승리의 기쁨이 보이지 않습니다. 적장의 목을 들고 함성을 외치는 영웅적인 모습은 전혀 찾아볼 수 없죠. 오히려 그의 눈빛에서는 깊은 슬픔과 연민이 느껴집니다.
카라바조는 종종 자신의 작품 속에 자화상을 그려 넣었습니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다윗과 골리앗 모두 카라바조의 자화상으로 해석됩니다. 다윗의 얼굴은 교황과 추기경의 사랑을 받던 젊고 성공했던 시절의 카라바조를, 끔찍한 모습의 골리앗은 살인자가 되어 떠도는 현재의 추악한 카라바조를 그린 것입니다. 즉, 이 작품은 살인하기 전의 카라바조(다윗)가 범죄자가 된 현재의 카라바조(골리앗)의 목을 벰으로써, 자신의 죄를 고백하고 과거를 참회하는 모습을 표현한 것입니다.
![]() |
다윗의 칼에 새겨진 'H-AS OS'라는 문구 |
이러한 해석을 뒷받침하는 것이 다윗의 칼날에 새겨진 'H-AS OS'라는 문구입니다. 이는 성 아우구스티누스가 강조했던 '겸손이 교만을 이긴다(Humilitas occidit superbiam)'라는 라틴어 문구의 약자(H-O-S)로 해석됩니다. 자신의 죄가 교만(superbiam)에서 비롯되었음을 인정하고, 겸손(humilitas)한 마음으로 참회하며 용서를 구하는 카라바조의 절박한 심정이 담겨 있는 것입니다.
카라바조는 자신의 회개와 반성을 담은 이 작품을 막강한 권력자이자 교황의 조카였던 시피오네 보르게세 추기경에게 보내 사면을 요청했습니다. 그리고 그는 사면받을 것을 기대하며 로마로 향했습니다. 안타깝게도 로마에서 멀지 않은 항구 도시 포르토 에르콜레에서 열병으로 갑자기 사망하여, 묘비조차 없이 공동묘지에 묻히고 맙니다. 그의 죽음을 두고 질병, 납 중독, 암살 등 다양한 설이 있지만 명확히 밝혀진 것은 없습니다.
39년이라는 짧은 생을 살다 갔지만, 카라바조의 극단적인 명암법(테네브리즘)은 미술의 흐름을 크게 바꾸어 놓았습니다. 연극 무대에서 오직 주인공에게만 스포트라이트를 비추듯 빛과 어둠의 극명한 대비를 통해 감정과 장면을 극적으로 연출하는 그의 화풍은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갔습니다. 빛의 화가로 알려진 렘브란트 역시 카라바조의 명암법을 깊이 연구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양식으로 발전시켰습니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