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cky

자크 루이 다비드의 '알프스를 넘는 나폴레옹' 해설 (들라로슈 작품도) — Art is long

자크 루이 다비드의 '알프스를 넘는 나폴레옹' 해설 (들라로슈 작품도)

  나폴레옹은 자신의 영웅적인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위해 그림을 탁월하게 활용했던 인물입니다. 그리고 그의 요구를 가장 잘 구현했던 화가가 바로 자크 루이 다비드입니다. 다비드의 <알프스를 넘는 나폴레옹>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정확한 작품명은 <생 베르나르 고개를 넘는 나폴레옹>이지만, 알프스를 넘는 극적인 장면 때문에 <알프스를 넘는 나폴레옹>으로 더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이 작품은 나폴레옹의 의뢰로 제작되었습니다. 기록에 따르면, 나폴레옹은 “Calme sur un cheval fougueux(격렬하게 날뛰는 말 위에서 침착한 모습)”로 자신을 그려달라고 구체적으로 요청했습니다. 따라서 이 작품은 나폴레옹을 이상적인 영웅으로 부각시키는 정치적인 선전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알프스를 넘는 나폴레옹>을 보여주는 이미지
<알프스를 넘는 나폴레옹> 1801년, 271x232cm, 오스트리아 벨베데레 궁전


  아마 많은 분들이 이 그림을 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저 역시 어린 시절 친구 집에 걸려 있던 이 그림을 보고 나폴레옹을 위대한 영웅으로 오랫동안 기억했습니다. 하지만 이 작품의 배경을 알고 나니, 철저하게 계산된 정치적 선전(Propaganda)임을 새삼 깨닫게 됩니다.

 

  자크 루이 다비드(Jacques-Louis David, 1748-1825)는 프랑스 혁명기에 나폴레옹을 영웅으로 만드는 많은 그림을 제작했습니다. 이 작품이 완성된 후 나폴레옹은 다비드에게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수여했고, 1804년에는 그를 황실 수석 화가로 임명했습니다.

 

  이 그림은 1800년 5월, 오스트리아군을 기습하기 위해 알프스를 넘던 실제 사건을 배경으로 합니다. 다비드는 나폴레옹을 애국심에 불타는 젊고 잘생긴 영웅으로 묘사했습니다. 하지만 그림 속에는 몇 가지 의도적인 '거짓'이 숨어 있습니다. 그림 속 나폴레옹은 위풍당당한 백마를 타고 있지만, 실제로는 험준한 산길을 오르기 위해 안전한 노새를 탔습니다.

 

  나폴레옹을 휘감은 붉은 망토는 거센 바람에 펄럭이며 그림 전체에 역동성을 불어넣습니다. 하지만 실제 그날의 날씨는 맑았습니다. 다비드는 드라마틱한 효과를 위해 배경을 폭풍우 치는 장면으로 재구성했습니다. 나폴레옹의 눈빛은 확신에 차 있으며, 그의 손가락은 저 너머 정상을 가리키며 병사들에게 승리의 메시지를 전하는 듯합니다.

 

  그림 왼쪽 아래 바위에는 ‘BONAPARTE’, 'HANNIBAL', 'KAROLUS MAGNUS'라는 이름이 새겨져 있습니다. 이는 나폴레옹을 알프스를 넘었던 위대한 영웅인 한니발과 샤를마뉴 대제와 같은 반열에 놓으려는 의도입니다.

 

  전체적으로 앞다리를 치켜든 말과 휘날리는 망토, 대각선의 산자락이 Z자 구도를 이루며 생동감을 극대화합니다.

 

폴 들라로슈 < 알프스를 넘는 나폴레옹 >를 보여주는 이미지
폴 들라로슈 <알프스를 넘는 나폴레옹>, 1850년, 289x222cm, 루브르 박물관 랑스 분관


  반면, 나폴레옹이 몰락한 지 수십 년 후에 그려진 폴 들라로슈의 그림은 완전히 다릅니다. 이 작품에서 나폴레옹은 영웅이 아니라 추위에 떨며 험난한 여정을 견디는 인간적인 모습으로 묘사됩니다. 그는 화려한 백마가 아닌 지친 노새에 올라탔고, 붉은 망토 대신 두꺼운 외투를 입고 있습니다. 눈 덮인 척박한 배경과 어두운 색채는 다비드의 영웅적인 그림과는 완전히 다른 느낌을 줍니다.

 

  다비드의 작품은 나폴레옹을 묘사한 가장 상징적인 그림으로 꼽히지만, 동시에 예술성보다는 선전 목적에 충실했다는 평가도 받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은 예술이 어떻게 권력과 결합하여 이미지를 만들고 역사를 구성하는지를 보여주는 가장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없음

문의하기 양식

이름

이메일 *

메시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