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cky

[고난주간 성화묵상] 카라바조의 <성 토마스(도마)의 의심> — Art is long

[고난주간 성화묵상] 카라바조의 <성 토마스(도마)의 의심>

  고난주간 성화 묵상 시리즈 마지막으로, 부활주일에 묵상할 수 있는 카라바조의 <성 토마스(도마)의 의심>을 준비했습니다.


  '성 토마스(도마)의 의심'이라는 주제는 오랫동안 많은 화가에 의해 그려졌는데, 특히 부활의 물리적 증거와 믿음의 본질을 탐구하는 중요한 소재였습니다.

 

<성 토마스의 의심>을 보여주는 이미지
<성 토마스의 의심> 1601-1602년경, 107x146cm, 독일 포츠담 상수시 궁전 회화관


  이 그림은 이탈리아 은행가이자 예술 후원가였던 빈첸초 주스티니아니가 카라바조(Michelangelo Merisi da Caravaggio, 1571-1610)에게 의뢰한 작품입니다. 참고로 이 그림을 그릴 당시 카라바조는 로마에서 명성을 얻으며 활동하던 시기였으며, 아직 살인으로 인한 도망자 신분은 아니었습니다.

 

  이 그림에는 어떤 배경이나 소품도 없이, 오직 예수님과 세 명의 제자만이 짙은 어둠을 배경으로 밝은 빛 속에 드러나 있습니다. 카라바조는 성 토마스(도마)가 자신의 손가락을 예수님의 옆구리 상처에 직접 넣는 극적인 순간을 특유의 사실주의와 강렬한 명암 대비(키아로스쿠로)로 표현했습니다. 그는 인물들을 이상화하지 않고, 토마스(도마)의 손톱 밑에 낀 때나 제자들의 허름한 옷차림까지 현실적으로 그려냈습니다. 이는 성스러운 주제를 보통 사람들의 눈높이에서 더 가깝게 전달하려는 카라바조의 의도를 보여줍니다.

 

  네 인물의 머리는 상처를 중심으로 십자 형태로 모여 있으며, 그들의 시선 또한 예수님의 옆구리에 난 상처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상처에 손가락을 넣고 있는 제자가 바로 성 토마스(도마)입니다. 그는 눈을 크게 뜨고 상처를 들여다보느라 이마에 깊은 주름이 새겨져 있습니다. 다른 두 제자는 베드로와 요한으로 추정됩니다.

 

  흥미롭게도 그림을 자세히 보면, 예수님께서 토마스(도마)의 손을 직접 잡아 상처로 이끌고 계십니다. 그런데 예수님의 표정에는 미묘한 고통이 서려 있습니다. 상처의 아픔 때문일까요? 아니면 부활하신 주님을 믿지 못하는 제자에 대한 안타까움 때문일까요?

 

  예수님의 옆구리 상처는 부활의 결정적인 증거였습니다. 로마 군인이 예수님의 죽음을 확인하기 위해 창으로 찔렀던 바로 그 상처이기 때문입니다(요한 19:34). 토마스(도마)는 바로 이 특별한 증거를 직접 확인해야만 믿겠다고 말했습니다.

 

...내가 그의 손의 못 자국을 보며 내 손가락을 그 못 자국에 넣으며 내 손을 그 옆구리에 넣어 보지 않고는 믿지 아니하겠노라...”(요한 20:25)

 

  부활하신 예수님은 그런 토마스(도마)에게 나타나셨습니다. "...네 손가락을 이리 내밀어 내 손을 보고 네 손을 내밀어 내 옆구리에 넣어 보라 그리하여 믿음 없는 자가 되지 말고 믿는 자가 되라"(요 20:27)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예수님의 옆구리 상처를 직접 확인한 토마스(도마)는 이렇게 고백했습니다. "나의 주님, 나의 하느님!"(요한 20:28) 이제 우리들이 토마스(도마)처럼 고백할 차례입니다. 부활을 의심하는 마음을 버리고, 진실한 신앙고백을 드려야 하지 않을까요?

 

  이상으로 고난주간과 부활주일을 위한 성화 묵상 시리즈를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없음

문의하기 양식

이름

이메일 *

메시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