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를 초월한 명작 뭉크의 '절규', 우리 모두의 불안을 그리다
뭉크(Edvard Munch, 1863-1944)는 몰라도 <절규 The Scream>는 미술에 전혀 관심이 없는 사람도 한 번쯤 본 적 있는 친숙한 그림입니다. 이 작품은 광고, 영화, TV 등에서 수없이 오마주되거나 패러디되면서 지금도 계속 재해석되고 있습니다. 잘 그린 것 같지도 않고 거실에 걸어놓기에도 어울리지 않는 이 그림이 세대와 국경을 초월하여 사랑받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사람은 몹시 놀라거나 괴롭거나 두려울 때 비명을 지릅니다. 살면서 누구나 느낄 수 있는 이 극한의 감정을 뭉크가 완벽하게 포착했기 때문일 것입니다.
죽음과 불안으로 가득했던 삶
뭉크는 어린 시절부터 죽음, 질병, 불안, 공포와 매우 가까웠습니다. 5세에 어머니가 결핵으로 사망했고, 14세에는 가장 아끼던 누나 소피에마저 같은 병으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그러자 목사였던 아버지는 광신적인 신앙에 빠져들며 우울증과 분노에 시달렸고, 남동생 안드레아스마저 결혼 직후 세상을 떠났으며, 여동생 라우라는 정신질환을 앓았습니다. 허약했던 뭉크 자신도 평생 류머티즘, 폐결핵, 공황장애, 우울증 등 수많은 병을 앓으며 살아야 했습니다. 이 불행한 가족사는 역설적이게도 뭉크 예술의 핵심 주제이자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뭉크의 그림은 외부 세계에 대한 관찰이 아닌, 자기 내면의 경험과 고뇌를 표현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는 자신이 겪었던 고독과 상실, 불안과 질투, 죽음과 질병에 대한 공포를 마치 자서전처럼 화폭에 쏟아냈습니다.
![]() |
<절규>, 1893년, 템페라 및 크레용, 91x73.5cm, 노르웨이 오슬로 국립미술관 |
비명을 지르는 것은 사람이 아닌 자연
<절규>는 뭉크가 오슬로의 에케베르그 언덕 산책길에서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합니다. 그는 1892년 1월 22일 일기에 이렇게 적었습니다.
“두 친구와 함께 길을 걷고 있었다. 해가 지고 있었고, 하늘은 피처럼 붉게 물들었다. 나는 피곤하고 아픈 느낌이 들었다. 그때 나는 자연을 관통하는 거대하고 끝없는 절규를 느꼈다. 실제로 그 절규를 듣는 것 같았다. 나는 진짜 피 같은 구름이 있는 이 그림을 그렸다. 색채들이 비명을 질러댔다.”
이 일기를 통해 우리는 비명을 지르는 주체가 그림 속 인물이 아닌 '자연' 그 자체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림 속 주인공은 뭉크 자신이며, 자연의 거대한 절규를 듣고 공포에 질려 귀를 막고 있는 장면입니다. 핏빛으로 물결치는 하늘, 소용돌이치는 피오르 해안과 인물의 뒤틀린 형상은 객관적인 풍경이 아니라, 당시 공황장애를 앓던 뭉크의 불안한 내면이 투영된 것입니다.
화면을 대각선으로 가로지르는 다리의 난간은 깊은 공간감을 만들며 시선을 뒤쪽으로 이끕니다. 하지만 하늘과 바다, 그리고 인물의 모든 곡선은 소리의 근원지인 얼굴로 다시 수렴하며, 관람객은 그가 듣는 소리에 집중하게 됩니다. 해골을 닮은 중성적인 얼굴, 동그랗게 뜬 눈, 벌어진 입은 그가 느끼는 원초적인 공포를 전달합니다.
저 멀리 다리 위에는 두 친구가 무심하게 걸어가고 있습니다. 뭉크가 겪고 있는 내면의 혼돈과 고통을 이해하지 못하는 외부 세계와의 단절감을 보여줍니다.
그림에 숨겨진 비밀 문구
<절규>가 처음 공개됐을 때, 평론가들은 “정신병자가 그린 그림”이라며 혹평했습니다. 흥미롭게도 그림의 왼쪽 상단에는 아주 작은 글씨로 “미친 사람만이 그릴 수 있다”라는 문구가 적혀 있습니다. 오랫동안 이 문구는 비평에 상처받은 뭉크가 직접 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
'미친 사람만이 그릴 수 있다'라고 적힌 문구 |
하지만 최근 적외선 분석 결과, 이 문구는 뭉크의 필체가 아니며, 전시를 본 누군가가 나중에 써넣은 낙서일 가능성이 크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혹평과 조롱에도 불구하고 <절규>는 훗날 세기말 인간의 실존적 불안을 표현한 최고의 걸작으로 인정받았고, 뭉크는 표현주의의 선구자로 불리게 됩니다. <절규>는 화가 자신의 고통스러운 내면을 자연에 투영하여 모든 인간이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인 감정으로 승화시킨 불멸의 명작입니다.
댓글 없음